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전통 한의학의 현대화, 세계화를 추구하는​한의과 대학

본문 시작

교수소개

  • 이재창 교수 사진
    이재창 (Lee Jaechang) 교수
    • 소속 한의과대학   한의예과  
    • 연구실 한의학관 4층 405호
    • 전화번호 043-649-1225
    • 이메일 ljct83@semyung.ac.kr
    • 담당과목 의료인류학(전필), 교육철학및교육사(교직), 교육학개론(교직), 설득의기술(교양), 합리적사고방법(교양), 상담연구방법론(대학원-석사), 상담연구방법론(대학원-박사), 심리통계(전공),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교양)

학위및약력

인천도화초, 인천선인중, 인천선인고 졸업
2003~2007 경인교육대학교 졸업(학사)
2010~2013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교육과정) 졸업(석사)
2014~2018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교육과정) 졸업(박사)
2017~2019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 박사수료
2020~ 인하대학교 항공우주융합캠퍼스 공학계열 재학(학사)

2007년 3월 ~ 2021년 2월. 부천역곡초, 상인천초, 인천숭의초, 인천학익초, 인천용현초등학교 교사
2015년 ~ 2022년 2월. 경인여자대학교 학부,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인천대학교 학부,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시간강사

2021년 3월 ~ 2022년 2월 세명대학교 교육과정연구개발센터 전문위원
2022년 3월 ~ 2023년 8월. 세명대학교 교육과정연구개발센터장
2022년 1월 ~ 현재. 세명대학교 편집방송국장
2023년 3월 ~ 현재. 세명대학교 한의예과 한의학교육실장
2023년 9월 ~ 현재. 세명HRD센터 전문위원

연구분야

교육과정 개발, 운영, 평가, 환류를 위한 이론 모형 연구
교육과정 이론과 현장 교육 제도 간 조화와 절충안 연구

학생역량 및 전공능력 측정·평가 관련 전산 프로그램 개발
학생설계전공, 모듈형 교육과정, 융복합과목 개발을 위한 전산 프로그램 개발
졸업역량 측정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평가, 환류를 위한 전산 프로그램 개발
교육과정 학생 및 교수자 피드백을 위한 전산 프로그램 개발

논문

윤현희, 이재창(2024). 이주민 밀집지역 소재 학교의 특성과 의미에 기반한 학교 운영 방향 탐색.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3(6), 53-81.
이재창(2024). 한의학교육프로그램 평가에 CIPP 교육과정 평가 모형 적용 가능성 탐구: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평가인증 편람을 바탕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1), 933-959.
정소민, 이재창, 윤현희(2024). 이주민 밀집지역 - 학교 간 연계·협력에 대한 지역사회 관계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교육문화연구, 30(5), 147-173.
이재창(2024). 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편성·운영·재구성을 제약하는 사항과 제약의 원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0), 277-304.
이재창(2024).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유⋅초 연계 교육 방안의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3), 17-39.
이재창(2023). 한의과대학 통합교육과정에서의 학생평가 방향 탐구.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4, 58-68.
이재창(2023). 한의과대학 맞춤형 근거중심의학교육 방향성 탐색을 위한 철학적 논의 : 현대 영미 인식론과 현상학을 바탕으로.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4, 36-49.
이재창(2023). James A. Banks의 다문화교육과정 개혁을 위한 접근법에 대한 재고: Schwab의 실제적 접근법을 바탕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9), 303-316.
한송이·박상훈·이재창(2022). 교양교육 발전방향에 관한 교원의 인식 탐색. 교양교육연구, 16(6), 47-66.
김현수·이재창(2022).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소규모학교 언론 담론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4), 505-528.
이재창(2022). Schwab의 실제적 접근 적용을 통한 대학 모듈형 교육과정 개발 연구: S대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2), 73-94.
이재창(2022).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계열성 강화를 위한 Schwab의 실제적 접근 적용 가능성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9), 385-400.
이재창·한송이·박상훈(2022). 대학 전공능력 측정 및 활용 방안 연구: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8), 449-465.
박상훈·이재창·한송이(2021). 대학 전공능력 측정 모델 개발 및 타당화: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4), 503-521.
이재창·최정원(2021). 중등교사들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실행수준 점검 및 자기평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0), 167-187.
이재창·김미진(2021).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수준과 필수 수행업무들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다문화교육연구, 14(1), 1-26.
이재창·김현수(2021).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연수 이수 경험이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에 미치는 효과 연구: 관심기반 실행모형을 기반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0(1), 27-58.
최정원·이재창(2020).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사의 관심수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439-457.
김대권·이재창(2020). 전면디지털교과서 사용으로의 과도기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9), 651-680.
이재창·김현수(2020).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에 따른 지원방안 논의. 교과교육학연구, 24(4), 387-398.
김미진·이재창(2020).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지식정보처리 역량 실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6), 501-524.
김현수·이재창(2020). 초등학교 교사의 소규모학교 공동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및 실행수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5), 899-920.
이재창(2018). 교사 일방적 유아교육의 근본 원인에 대한 교육철학적 고찰: 칸트의 교육철학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27(2), 163~181.
이재창(2018). 누리과정 구조적 개선을 위한 Schwab의 실제적 접근 및 Wiggins & McTighe의 교육과정 역행설계모형 적용 가능성 탐색 연구. 유아교육연구, 38(2), 129-155.
이명희·김기화·황진민·이재창·허은지(2017). 다문화예비학교의 역할과 개선과제: 한국어 강사의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3(4), 409~432.
이재창·홍후조(2017). 누리과정 및 생활주제 간 연계 방안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9), 151-180.
이재창·홍후조·김기은(2017).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5개 영역 및 교사용 지도서 생활주제 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4), 255-274.
이재창·조한아(2016). 자유학기제의 철학적 기반 형성 가능성 탐색: 실존주의 철학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3), 611-634.
최혜미·홍후조·임재일·이재창·한진호·백경선(2016). 도덕과 교과서 시범 단원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369-388.
임재일·홍후조·김미진·이재창(2015).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학생평가 특징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18(3), 233-255.
이재창·홍후조·김미진·임재일(2014).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수업과 교육활동의 특징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8(4), 1135~1161.
김미진·홍후조·이재창·임재일(2014).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특성 분석: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2), 215~241.

산학협력(연구과제)

한국교육개발원(2023). 이주민 밀집지역 소재 학교 혁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2023). 미래지향적 괴산교육생태계 구축 방안 연구(Ⅱ): 초중고 연계 및 교육력 제고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2024).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평생교육 사업: 한의학 졸업 후 교육 개선 필요성, 방향성 연구

대외활동

<국제학회 발표>
ISAMS 2023 speaker. (2023.10.7.)
tit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regular graduation competency measurement system as a basic step in student competency evaluation

<대외활동>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연구윤리점검단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학술홍보위원

목록

  • 담당부서 : 한의과대학
  • 담당자 : 황성민
  • 연락처 : 043-649-1701
  • 최종수정일 : 2024-10-26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