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당신의 꿈을 코딩하세요!컴퓨터학부 

본문 시작

DI Lab

세명대학교 컴퓨터학부 데이터지능연구실, 'K-GovExam'으로 2025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최우수상 수상

  • 컴퓨터학부
  • 11
  • 2025-09-16

 

세명대학교(총장 권동현) 컴퓨터학부 데이터지능연구실(지도교수 이수안)이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개발(R&D)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 큰 성과를 거두었다. 연구팀의 학부생인 김재성 연구원이 제1저자로 참여한 논문이 '2025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학부생/주니어 논문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번 수상은 지티어트렉션(대표 김동훈)이 주관하고 세명대학교가 위탁연구기관으로 참여하는

'대규모 언어 모델 기반 공무원 수험생의 AI 학습지원 플랫폼' 개발 사업의 성공적인 중간 결과물이다.

 

연구팀은 'K-GovExam: 한국 공무원 시험 기반 LLM 평가용 데이터셋 구축 및 추론 언어 모델 분석'이라는 주제의 논문을 발표했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거대 언어 모델(LLM)이 영어 중심으로 학습되어 고난이도의 한국어 시험 문제 해결에 한계를 보인다는 점에서 시작되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4년부터 2024년까지 11년간의 9급 국가직 및 지방직 공무원 시험 문제 총 18,020개를 수집하고 정제하여 'K-GovExam' 데이터셋을 구축했다. 특히, 단순한 정답과 질문의 쌍을 넘어, 모델이 논리적 추론 과정을 학습할 수 있도록 중간 추론 단계를 포함한 학습 데이터를 자동 생성한 것이 핵심이다.

이 데이터셋을 OpenAI 상용 모델과 공개된 Qwen2.5 기반 모델에 학습시킨 결과, 고난이도의 한국어 시험 문제 해결이 여전히 AI에게 도전적인 과제임을 확인하는 한편, 한국어 기반 고차원 추론 모델 개발의 중요한 기준점을 제시했다.

 

이수안 교수의 지도 아래 김재성, 길상현 학부생 등 연구원들이 참여하여 sLLM(소형 언어 모델) 개발 및 벡터 학습 등을 수행하며 프로젝트의 기술적 기반을 다지고 있다.

이수안 교수는 "이번 수상은 학부생이 정부 R&D 과제에 직접 참여하여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앞으로도 AI 기술을 통해 실제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학생들이 미래 기술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K-GovExam 데이터셋은 허깅페이스(Hugging Face) 플랫폼을 통해 공개(https://huggingface.co/collections/kikikara/k-govexam-68b69c8024016a224c1e31ca)되어, 향후 국내 공공기관의 AI 연구 생태계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